Naver "NOW"
최근 네이버에서 진행한 "Naver '22 Deisgn Colloquium"을 시청하게 되면서 네이버 나우를 사용해 보기 시작하였고, (사실 작년 아이유 신곡 컴백쇼 때 회사에서 나우를 통해 다 같이 보았지만 나우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해 그냥 잊고 있었다.) 콘텐츠를 보면서 영상이 가로 비율이 아닌 세로 비율로 진행되었고, 숏폼 형태가 아닌 6시간 동안 진행되는 컨퍼런스 영상을 세로 형태로 보니 현대카드 세로 카드를 보았을 때의 느낌 처럼 다소 어색하긴 했지만 신선했다.
이 후 일정이 있어 다시 "나우" 들어가 보려했지만 전혀 찾을 수 없었고 헤맸던 기억이 있어, 제대로 앱에 대해 살펴보자 진행하였다.
1. 서비스 정의
2019년 8월 26일 개국, 라디오 스트리밍 사이트로 시작하다 2022년 3월 네이버 TV 서비스와 결합하여 라디오 외에도 자체 제작 예능이나 공연 등을 스트리밍 하는 "Live Entertainment Platform"이다.
네이버 책임리더 공진환 님 인터뷰 중
나우에서 인기 아이돌의 스페셜 공연 등 음악과 아티스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은 70% 정도다. ... (중략)
공진환 책임리더는 "나우는 실시간이 장점이다. 그때그때 핫한 인물이나 음악에 대한 콘텐츠를 쉽게 소비할 수 있었으면 한다.
다만 유튜브나 틱톡처럼 UGC(이용자 제작 콘텐츠)보다 전문적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 (중략)
나우는 OTT, 1인 미디어 플랫폼과는 분야가 엄연히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OTT는 자리를 잡고 드라마 한편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켜야 한다. 기획 역량과 방송 품질은 1인 방송 대비 우월하다.
길이가 짧은 숏폼 콘텐츠와 비교하면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게 장점이다.
공 책임리더는 "무엇을 보고 싶은지 딱히 모르겠지만 어쨌든 재미있는 것을 부담 없이 켜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지향한다.
부가적으로 엔터테인먼트적인 것뿐만 아니라 네이버 뉴스에서 접할 수 있었던 사회적인 이슈도
이용자 취향에 맞춰서 보여주는 서비스로 만드는 게 장기적인 비전이다"고 말했다.
- 일간스포츠 기사 [IT싸를 만나다] 공진환 리더 "네이버표 라이브 플랫폼 '나우', 이젠 해외다" 중 일부 발췌, 정길준 기자
사실 개인적으로는 현재는 서비스를 정리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것 같으나 정리해보면 ,
"음악 및 아티스트 위주의 오디오 중심의 컨텐츠이나 영상으로도 즐길 수 있으며,
틱톡/ 유튜브 숏폼 / 릴스 등 과같은 숏폼 컨텐츠에 비해 기획, 방송 품질이 우월하면서,
OTT 플랫폼에 비해 짧고 가벼운 컨텐츠를 소비 할 수 있는 서비스"
정도로 정리 할 수 있을 것 같다.
2. 고객(이용자) 분석
주요 타겟은 바이럴력 / 트렌드 리딩력이 높은 MZ 세대 중심으로, 네이버 TV 서비스가 결합된 새로운 네이버 나우 출시 후 MAU가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 앱스토어 리뷰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아이돌 자체 컨텐츠를 보기 위한 이용자와 라이브 스포츠를 보기위한 이용자가 대다수라는 걸 알 수 있었다. )
*MAU : [ Monthly Active Users ] :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
고객과의 관계
- 컨텐츠 생산(자체 제작)을 네이버 나우가 진행하여 제공 ( 유저 컨테츠 서비스 제공 하지 않음 X )
- 고객이 가치를 지불하는 직접 행동 (광고 눌러서 보기, 구독 등)이 아닌 고객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PPL이나 미디어 광고를 통해 수입을 얻는 BM X- 고객이 회사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시청)하는 서비스 X
3. 앱의 전반적인 정보구조 : UI UX
홈화면
1.GBN : 알림 / 마이페이지 아이콘, 스크롤을 올리면 올라가 사리지고 내리면 상단에서 내려온다.
2.SNB: 홈 / 생중계 / 급상승 / 스포츠 / 예능 등 영상 등을 컨텐츠 장르로 분류하여 카테고라이징 되있으며 좌/우 슬라이드로 작동한다.
3.주요 영상 슬라이드 : 나우에서 가장 보여주고 싶은 [오리지널 컨텐츠 중심]의 컨텐츠 이미지들이 슬라이딩으로 노출되며, 이슈에 적합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가변적이다.
4-10. 컨텐츠 카테고리 섹션 : 지금 방송중 / 최근 본 영상 / 오리지널 하이라이트 등 영상들이 카테고리 별로 섹션이 나누어져 좌우 슬라이딩 형식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무한 스크롤을 사용하지 않고, 전체 방송관으로 종결된다.
11. Bottom Bar : 홈/ 오리지널 / 하이라이트 / 팔로잉 / 검색 페이지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항상 고정된 영역이다. 활성중인 탭에만 하이라이트 된 아이콘으로 표현된다.
오리지널
네이버 나우에서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컨텐츠들이 모여있는 메뉴이다.
상위에는 주간 인기쇼가 좌우 슬라이딩으로 아래로 "놓치면 안되는 에피소드"/"UP COMING NOW"가 상하 스크롤 형태로 보여지고 있다.
상단 전체쇼를 누르게 되면 프로그램이 3분할 카드 형태로 보여지며 무한 스크롤로 계속해서 나타난다.
방영중과 방영종료인 컨테츠로 다시 나누어 지며 최신순 / 오래된순 / 이름순으로 정렬 가능하다.
하이라이트 / 검색
하이라이트 : 하이라이트 메뉴에서는 세로형 하이라이트 영상이 무한 스크롤링으로 계속 나오게 되며 좋아요 / 댓글 / 공유 / 더보기 ( 영상 정보 / 자막 /신고 )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검색 : 명확하게 검색의 툴만 제공하고 있으며, 추천 키워드 및 최근 검색 목록 등을 제공하고 있다.
팔로잉
팔로우 탭을 들어가게 되면 가장 최근 팔로우된 채널의 영상이 최신순으로 아래로 보여지게 되며, 다른 채널의 프로필을 누르게 되면 아래 영상이 해당 채널의 영상들로 바뀌며 최신순으로 정렬 된다.
전체 : 전체 버튼을 누르게되면 팔로우한 채널과 쇼의 모든 프로필이 다 같이 보여진다.
4. 사용성 리뷰 및 개선점
현재 App Store에서 나우의 별점은 1.7점 대로 거의 멸망 수준에 가까운데 1점대의 리뷰(약2,100명)를 살펴보면, 대부분 네이버TV에서 NOW로 바뀌면서 UI적인 불편함과 라이브 방송 송출 끊김에 대한 기술적 이슈가 대부분인 듯 했으며, 또 리뷰들을 읽고 해당 이슈를 앱에 들어가 찾아려하면 찾을 수 없어 아마 나우 쪽에서도 CS에 대한 반응 하고 있는 듯 보였다.
하지만 나 역시 네이버 나우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 서비스를 정의 하면서 BM과 서비스 강점이 개인적으로 아직은 덜 다듬어졌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리고 앱을 살펴보고 사용하면서 그런한 점들이 UX와 UI에서도 전반적으로 나타났던 것 같다.
숏 폼이 아닌 영상이 세로형으로 발행되고 이미지와 영상의 레이아웃 구성들이 다른 기존 앱들에 비해 시원하고 단순하게 배치된 느낌에 비해
정보의 하이라키가 다소 혼재되어 있어 무엇을 어떻게 찾아서 봐야 될 지 어려웠다.
- 개선점
[이미지 추가]
1. 채널, 쇼, 에피소드, 오리지널, 하이라이트, 오리지널 하이라이트, 생중계, 라이브, 등 너무 많은 카테고리 묶음이 병렬 방식으로 늘어져 있으며, 단어들의 개념이 서로 공통 되는 것이 많아 영상의 분류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2. UX Writing 너무 어려움
3. 페이지를 나가 기존 영상 혹은 전에 보던 페이지로 돌아감에 있어 사용성이 다소 익숙하지 않다.
4. 홈 화면 레이아웃이 너무 변칙 적이다 가로형 세로형 너무 다르다 보닌까 정보가 눈에 안들어 오는것 같다.
5. 사용성이 페이지 마다 다르다. (변칙적)
ex / 하이라트를 통해 해당 채널로 들어갔다 다시 뒤로 가려면 좌 >우로 스와이핑 해야한다.
/ 영상이나 라이브 방송 등은 누르고 다시 나라려면/ 뒤로가려면 위> 아래로 내려야한다.
6.채널의 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면 상당에 채널 이미지는 나오나 썸네일 클립(미리보기) 같은게 없다.
7. 영상 보다 다른 해당 채널의 영상 보려면 가장 하단에 버튼을 눌러야된는데 회색에 가시성 없음 버튼인줄 몰랐음 정보성 바인 줄 알아 프로 필을눌러 에피소드로 들어가야했음
------------------------------
- 경쟁사는 어떤 곳인가 앱의 시장 위치 및 경쟁자
NOW(나우)
넷플릭스 / 왓챠 / 티빙 / 쿠팡플레이
유튜브 / 틱톡 / 인스타그램
카카오 TV /
29TV
'Study > App Cr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퍼런스 분석] "카카오헤어샵" App UIUX 분석 및 개선 (0) | 2023.01.29 |
---|---|
[레퍼런스 분석] "카닥" App UIUX 분석 및 개선 (0) | 2023.01.23 |
[레퍼런스 분석] "Remember" App UIUX 분석 및 개선 (1) | 2023.01.09 |
[레퍼런스 분석] " todo mate" App UIUX 개선 (0) | 2023.01.01 |
[레퍼런스 분석] "Apartmentary" App UIUX 개선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