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date : 2022 / 12/ 13
UX와 UX research 는 결국 사용자가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이고,
일렬의 경험을 다양한 방법론을 통하여 관찰 및 분석하고 데이터를 도출하며, 그 것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 및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를 도출 한 후 해결 및 발전 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관 부서들에게 전달 하는 일 인 것 같다.
Prdouct/Service/ Project 단위에 소비자 경험을 UX라 한다고 생각이 들며, 더 큰 브랜드 단위의 소비자 경험을 BX라 표현 되는 것 같다.
기존에 UX와UI 가 묶여 UX&UI라는 단어와 이를 포괄적으로 Product Design이라 표현 되어져, UX라는 단어는 나에게 App,Web 등 서비스 산업에서 사용되어지는 용어이며, 직군이라는 생각 이였지만 UX는 디자인적인 영역보다는 사고론과 인문학적인 철학의 범주에 가깝다고 생각되어, UX는 브랜드, 제품, 서비스 더 크게는 비지니스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공부 인것 같다.
기존에 내가 제품(H/W) 디자인을 해오면서 조형, 색채, 비례, 등 심미적인 영역에 포커스 하며, 실질적인 사용자/이용자의 구체적인 데이터 보다는 디자이너들 간의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가전 및 가구등 피지컬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하고 완성도를 높이는데에도 좋을 것 같다
다만 서비스와 다르게 피지컬한 제품들은 제품이 실 사용자들에 손에 사용되어지고 사용성 개선 및 개발을 하는데 더 많은 비용과 물리적인 시간이 들어 가기 때문에 ( 양산 시간 등) 사용의 형태와 방법 적인 것들은 다르게 사용되어지겠지만 개념과 방법론 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면 좋을 것 같다.
UX
- 사용자가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
사람의 행동 전반에 걸쳐 모든 경험을 고려해야한다
컨텐츠가 음식의 재료라면UI는 그 재료로 만든 음식으로, UX 는 식당에 들어와 그 음식을 주문하고 먹는 모든 경험 을 의미
UX Research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고객의 진짜 ㅏ(Pain Point)를 찾아내는 것
사용성
사용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사용자의 편의성
UX리서처는 하는 일에 따라 역할이 다르다.
고객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
제가 생각하는 회사에서 UX리서처의 임무
정성적 방법론과 내부 정량 데이터를 활요해 고객 행동을 파악
>최근에는 정성 리서처와 정량 리서처로 세분화되어 직무가 세분화 되김함
2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해결이나 개선에 도움될 인사이트로 도출
> 단순히 리서치를 수행하기만하는 것이아니라 Action Item을 도출하고 전략을 제안
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서비스 유관 부서에 전파
> 이를 토해 회사가 고객 중심의 업무 문화가 되도록 장려
Memo_
애자일?
UX 컨설팅
NNG; Nielsen norman group
www.nngroup.com
'Study > UX Theory_Basic 0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_07/08. 퍼소나 Persona (0) | 2022.12.14 |
---|---|
02_06. 리서치의 방법론들 (0) | 2022.12.14 |
2_05.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과 리서치 (0) | 2022.12.14 |
02_03/4. 사용자 이해하기 / 비지니스와 사용점 관점의 차이 (0) | 2022.12.14 |
02_02. Research가 가져야 할 자세 / Atitude (0) | 2022.12.13 |